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국을 대표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구글과 페이스북이 있다면, 우리 나라에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플랫폼 기업이라 할 수 있는 이 두 회사는 해를 거듭할수록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고, 더불어 세계로 나아가고 있다.

 

실제로 네이버는 일본과 동남아에서 라인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고 카카오는 매년 역대 최고 매출을 경신중 입니다. 이 두 기업이 이렇게 최고 매출을 달성하며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일까?

 

네이버의 3년 후, 멀게는 10년 후의 미래가 어떤 모습일지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왜냐하면 의사결정자가 비전을 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이해진 GIO는 2016년 7월 라인이 미국, 일본에서 동시 상장하는 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비전이 없는 것이 곧 경영 철학이라 밝힌 바 있다.

 

이는 매일 새롭게 변화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경직되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으면 도태되기 때문에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카카오는 생태계 경제를 지향하고 있다. 규모가 큰 회사가 힘을 이용해서 취사선택을 하는 구조가 아니라, 누구나 참여하고 수익을 배분하는 생태계 경제를 미래 비즈니스 경제의 모습으로 여기고 이를 위해 실천하고 있다. 또한 모든 것과 연결하고 모든 것과 소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장소와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는 모바일 생태계를 이용하여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하여 느리지만 많은 이들과 함께 높은 곳을 향하여 가겠다는 비전이 담긴 것이다. 이를 위해 카카오는 카카오링크와 같은 오픈 플랫폼을 제공하여 많은 이들이 자유롭게 참여함으로써 함께 성장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네이버는 끈기와 집착으로 똘똘 뭉친 기업이라 할 수 있다. 프랑스어 네이버 사전을 개발할 때는 프랑스어를 모르는 직원들이 프랑스어를 배우는 일을 먼저 시작했으며, 네이버 메인 화면에 아주 작은 오타나 오류를 용납하지 않는다. 그리고 네이버 지도의 높은 질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 평균 1000개 이상의 변동 사항과 고객 문의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노력한다. 플랫폼 기업답게 누구보다 데이터를 중요하게 여겨 누구나 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식 백과를 개발했으며 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축구장 7배 크기의 하드웨어 데이터센터를 만들었다.

 

카카오는 4-2법칙을 활용한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4명의 직원이 2달간 개발한다는 법칙이다. 이는 카카오톡 개발할 때에도 적용된 방법이다. 필요한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이에 맞는 조직을 구성하여 개발에 필요한 환경을 갖춘다. 아울러 2달이라는 기한을 주어 성과를 검증하고 2달동안 성과가 나지 않으면 과감히 프로젝트를 접는다. 이 4-2 법칙은 역량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는 데다가 시간까지 아낄 수 있기 때문에 인력과 자본 등에 한계가 있는 벤처 기업에서 유용하다.

 

최근 생겨나는 많은 벤처 기업들이 그러하듯 네이버와 카카오도 수평적, 실력 위주의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다. 특히 네이버는 개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엔지니어들이 일하기 좋은 환경과 조직 문화를 만들기 위해 애쓴다. 네이버 사옥 ‘그린 팩토리’도 직원들이 몰입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고심 끝에 나온 결과물이다.

 

커뮤니케이션 및 공용공간을 각 층의 입구에 둠으로써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지나가게끔 함으로써 더 많은 만남과 소통이 일어나게 만들었고 직원들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업무 공간은 떨어뜨려 놓았다.

 

카카오의 직원들은 사장(이제범 대표)을 JB라고 부른다. 또한 김범수 의장을 의장님이 아닌 브라이언이라고 부른다. 직급을 붙여 부르면 경직되고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편하게 부르고 있다. 또 카카오라는 이름도 사내에서 브레인 스토밍과 투표를 통해서 뽑았다.

 

이렇듯 누구든지 편하게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고 소통할 수 있는 카카오의 유연한 환경이 지금의 카카오를 높은 자리까지 이끌었다.

이제 이 두 회사는 더 큰 미래를 꿈꾸고 있다. 카카오톡은 글로벌 가입자 1억명을 꿈꾸며 전 세계를 연결하는 진정한 소셜 허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네이버는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서 미래 사업인 AI 분야와 콘텐트 분야에 투자하고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들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