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의 수명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수명이 40년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당장 구글에 '원전 수명'이라는 단어로 검색만 해봐도 원전 수명이 40년 이고 우리나라에 30년을 넘긴 원전이 많기 때문에 10년 이내에 폐쇄해야 한다는 기사들을 읽어 볼 수 있습니다. 정말 그럴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원자력 발전소의 수명은 40년이 아닙니다. 40년은 그냥 원자력 법에 의해 보장된 운영일수에 불과합니다. 그러니까 법적으로 4년동안 운영을 허가해 준다라는 의미인 것이죠. 실제로 원전의 수명은 콘크리트와 노심의 물리적인 수명과 같을 것이고 그렇게 따지면 100년도 넘게 버틸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실제로 전 세계에 많은 원전들이 30년 이상 장기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은 가압수로 원전..
동물들의 시력은 제각각 다릅니다. 또 기능적인 특징이나 모양 역시 다양하죠. 어떤 동물은 양쪽 눈을 제각기 따로 움직일 수 있고, 어떤 동물은 동공이 지그재그 모양으로 생겼죠. 눈에 별도의 보호막을 갖춘 동물도 있고 심지어 눈으로 피를 뿜는 동물도 있습니다. 한 밤중에서도 아무런 문제없는 동물이 있는가 하면 거의 쓸모없는 눈을 가진 동물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누구의 시력이 가장 좋을까요? 밤눈이 가장 밝은 동물은 무엇일까요? 가장 자세히 보는 동물은? 혹은 가장 다양한 색을 구분하는 동물은 누구일까요? 그리고 움직임을 가장 빠르게 포착하는 눈을 가진 동물은 또 누구일까요? 지구상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눈은 빛의 파동을 통해 자극을 받아들입니다. 눈은 이 빛을 광 수용체에 모으고 우리가 보는 형태로 바꾸게..
야생동물은 어떤 방식으로 가축화 된 것을까요? 인간의 오랜 친구인 개들은 어떻게 인간무리에 합류할 수 있었을까요? 이 궁금증에 관련된 하나의 실험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장기간에 걸쳐 여우를 가축화하는 시도를 했습니다. 개에 대해 생각을 해 보겠습니다. 개는 자신들의 조상인 늑대와 비교하면 너무나 많이 다르고 각 각 종별로 거의 다른 동물이라고 생각 될 정도로 크기오 색깔 길이 등이 다양합니다. 그러나 그 다양한 동물들을을 인간은 모두 '개'라고 부르고 있죠. 사람들은 늑대가 가축화되는 과정에서 개가 되었고, 여러가지 다양한 외모 형질을 가지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었지만 가축화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어떤 과정을 겪었는지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었습니다. 은여우 길들이기 이..
아래 사진들을에서 냄새가 난다면 과연 어떤 냄새가 날지 한 번 상상해 보세요. 대충 감이 오시죠? 맞습니다. 흔히 우리가 비냄새라고 부르는 빗방울이 마른 땅을 적실 때, 소나기가 지나가고 나는 뭔지 모를 상쾌한 흙 냄새 제기 오늘 이야기 할 것은 바로 그 냄새에 관한 것입니다. 이 냄새의 정체는 페트리코라(petrichor)고 합니다. 이 냄새의 원인은 토양에 섞여있는 세균 중 방선균이라는 세균이 물에 젖어 분해될 때 나오는 지오스민이라는 물질이 공중에 퍼지기 때문입니다. 지오스민은 딱히 우리 몸에 유해하거나 불안정한 물질이 아닌데 우리 인간은 왜인지 모르게 이 냄새를 맡으면 대단한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평안한 기분을 갖게 됩니다. 그 특유의 향 때문에 이 물질을 이용해 비슷한 향의 향수나, 방향제 등을..
흔희 희토류라고 하면, 원자번호 57번 란타넘(La)부터 71번 루테튬(Lu)까지의 란타넘족과 21번 스칸듐(Sc), 39번 이트륨(Y)까지의 17종류 원소를 일컫습니다.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네오디뮴으로 전체 희토류 소비의 40% 정도를 차지하는데 네오디뮴 자석을 만드는데 사용합니다. 네오디뮴을 넣은 자석은 일반 자석에 비해 열 배 이상 자력이 강해지는데, 희토류는 이처럼 소재의 성능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희토류 매장량 희토류(稀土類)는 그 이름이 가진 뜻과는 달리 전 세계적으로 풍부하게 매장된 편입니다. 심지어 지하자원의 불모지인 우리 나라에도 상당히 매장되 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희토류 생산량은 중국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것은 물론 중국에..
어린시절 머지않아 석유가 석유가 고갈된다는 이야기를 들어 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전 세계적으로 지배적이었죠. 그런데 지금은 완전히 반대로 지금부터 200년 이상 사용할 만한 석유자원이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이 만들어지게 된 것은 셰일가스 때문입니다. 셰일가스는 0.005mm 이하의 입자가 작은 진흙이 뭉쳐서 형성된 셰일층에서 움직이지 못하고 갇혀있던 천연가스를 의미합니다. 셰일가스는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단단한 셰일층 아래에 갇혀 있는 탓에 추출할 수가 없었습니다. 아무 의미가 없었던 셰일가스는 추출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더 현실화 되었고, 이제는 국제 정세까지 좌우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셰을가스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
저는 어릴 때 아주 오래된 구옥에서 살았는데요. 그러다 보니 정말 벌레가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던 것은 개미 들이었는데 가끔 방바닥에 누워서 천정을 바라보고 있으면 천정을 한줄로 기어가는 거미들을 발견할 수 있었죠. 그 때 제가 가졌던 궁금증은 저 천정에 매달려 있는 개미들은 떨어지면 다치거나 죽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저 개미들이 사람이라면 거의 백층이 넘는 고층 빌딩에 매달려 있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데 말이죠.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개미는 대략 3 ㎜에서 약 1 ㎝ 정도의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1 g도 채 되지 않는 약 0.5 g 이라는 아주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죠. 개미가 계단 한칸 정도 높이에서 떨어진다고 해도 몸 길이가 5mm 인 개미에게..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접착제는 8,000년 이상 된 것으로 사해 근처의 동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고대 사람들은 동물의 뼈와 식물 재료가 혼합된 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방수 그릇, 식기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후 수천 년 동안 식물들이나 동물들은 인간 문명을 하나로 묶는 접착제였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충분한 종류의 테이프와 접착제로 무엇이든 만들고 수리합니다. 하지만 무엇이 접착제와 테이프를 끈적거리게 할까요? 그리고 다른 것보다 더 강한 걸까요? 접착제는 나무 수지의 테르펜과 우유 단백질 카세인 및 식물성 녹말 덱스트린 같은 합성 분자 또는 천연 단백질과 탄수화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작업하려면, 접착제나 테이프는 모두 접착제의 결합과 점착성의 결합이 필요합니다. 접착제 결합은 접착제의 분자와 분자에 붙..
채광 산업은 공기와 수질 오염, 그리고 지형의 파괴를 불러 일으킵니다. 시안화물, 황산, 염소와 같은 위험한 화학물들이 자원을 빼내는데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태계와 노동자들, 그리고 생명체에게 해를 끼칩니다. 또, 희토류는 수출을 제한하여 여러 나라에서 정치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유해한 체광산업을 무해한 청정 친환경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대답은 네, 가능합니다. 소행성은 수백만~수조 톤의 돌, 금속, 얼음 덩어리입니다. 45억년 전에 행성이 형성된 후의 잔재들입니다. 미터 단위로 작을 수도 있고, 나라만큼 큰 것들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소행성대와 카이퍼 벨트에 분포하며, 수십만개에 달하는 나머지는 행성 사이에 흩어져 그들만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우주 여행이 더 저렴해지면서, 과학자들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