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홍콩은 전 세계에서 주거 비용이 가장 높은 나라 입니다. 홍콩의 집값은 8년 연속으로 세계 1위를 기록했고, 현재 홍콩의 집값은 주민들의 연간 소득보다 약 20배 정도 많습니다. 즉, 1년에 5만 달러를 버는 가정이 98만 달러 짜리 집을 사려면 20년 동안 하나도 안 쓰고 저축해야 한다는 의미이죠. 상황은 계속 악화 되고 있습니다.
현재 수십만 명의 주민들이 믿기 힘들 정도로 작은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그 면적이 고작 2평에서 4평 남짓이라고 합니다. 위 사진에 나오는 새장같은 집은 겨우 1명 정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홍콩은 최대한 많은 사람이 살 수 있도록 이런 새장같은 집들을 만들고 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은 집의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새장 집(cage homes)은 큰 면적을 여러 개의 작은 생활 공간으로 나누어 놨습니다. 그 안에는 기본적으로 침대와 탁자 그리고 최소한의 소지품 정도를 넣을 수 있는 공간밖에 없습니다. 이런 주거 형태가 작동할 수 있는 이유는 요리와 세탁, 화장실 등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치 우리나라의 고시원을 떠올리게 하지만 훨씬 좁고 열악합니다.
이렇듯 홍콩의 집값이 치솟은 것은 토지 부족 문제입니다 알다시피 750만 명의 사람들이 이 작은 섬에 몰렸고 그 결과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올랐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홍콩에 땅이 부족한 상황일까요?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홍콩에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녹지도 아주 많이 있습니다.
홍콩 정부의 토지 이용 자료에 따르면 홍콩의 토지 중 75%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중 일부는 산이 많고 바위 투성이어서 건물을 짓기 어렵다고 하지만 전부다 그렇진 않습니다. 실제로 홍콩 거주자들은 지 빈땅에 주택을 공급함으로서 지금의 주택난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토지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거나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이처럼 높은 토지 가격이 조성되게 되는 것입니다. 즉, 문제는 토지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토지 관리가 잘못됐다는 겁니다. 홍콩의 모든 토지 중 단 3.7%만이 도시 주택을 위해 구획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산 때문이 아니라 정책 때문이며 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새장같은 집으로 들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입니다.
진짜 이유가 알고 싶다면 먼저 정부가 홍콩의 모든 땅을 소유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그래서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모든 땅을 보통 최고 입찰자가 계약을 따내는 경매 과정을 통해 개발업자들에게 50년 동안 임대합니다. 수요가 많은 주택 용지를 구매하기 위해 중국 본토의 여러 부동산 기업들이 많은 돈을 가져와서 경매를 통해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합니다. 그래서 결국 천문학적으로 높은 가격이 형성되는 거죠. 홍콩 정부가 부동산 개발업자에게 임대한 땅 중에서 가장 비싼 것은 22억 달러에 임대 되었다고 합니다.
두 번째 이유는 세금과 관련 있습니다. 홍콩은 저세율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칩니다 사업하기에는 아주 좋은 장소죠. 왜냐하면 낮은 법인세, 부가가치세, 판매세도 없고 저세율과 자유 시장 경제 체제 모두 홍콩의 구조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홍콩의 화려한 밤거리와 고층 건물은 이런 저세율이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 결과 홍콩 정부는 세금으로 수익을 얻지 못합니다. 그래서 반드시 다른 수입원으로 얻어내야만 하는데 홍콩 정부의 주요 수입원은 토지 임대료입니다. 정부 공공재정 수입의 약 30%를 차지하죠. 홍콩 정부는 이 땅을 천문학적인 가격에 부동산 개발업자들에게 임대해 엄청난 수익을 올릴 수 있었기 때문에 홍콩에 거주하는 주민이나 기업에 세금을 인상할 필요가 없었고 지구 상 가장 자유로운 경제 순위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홍콩 정부가 더 많은 땅을 주택으로 개발 해 가격을 낮출 큰 동기가 없다는 겁니다.
결국 진정한 해결책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홍콩 정부는 선택을 해야 합니다. 물론 쉬운 선택은 아니겠죠. 하지만 정부가 선택을 내릴 때 까지 홍콩사람들의 주거 환경은 점점 더 열악해 질 것이 뻔합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자유주의 등장 배경에 대한 간단한 설명 (0) | 2022.01.21 |
---|---|
키스 조셉, 신자유주의 이념으로 영국 보수당을 되살리다 (0) | 2022.01.21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노리는 이유, 역사적 측면 (0) | 2022.01.21 |
링컨에서 트럼프까지, 미국 공화당의 역사 (0) | 2022.01.19 |
중국의 절대권력, 시진핑의 일생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