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kg의 스테이크를 위해서는 최대 25kg의 곡물 사료를 먹여야 합니다. 만약 그 곡물 사료를 인간이 먹는다면 35억명의 인류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양이죠. 결국 소와 같은 가축들을 위해 전 세계 농경지의 3/4이 사용됩니다. 가축은 물도 많이 소비합니다. 작은 햄버거 하나를 생산하는데 660갤런 이상의 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가축들은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인간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15%를 가축부분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은 우리가 지구를 멸망으로부터 구하는 방법입니다."

 

위 주장처럼, 최근 소들은 지구온난화의 주역으로 떠올랐습니다. 사람들은 지구를 구하기 위해 소고기를 덜 먹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소들은 메탄이 풍부한 트림과 방구로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우리가 먹을 음식을 모두 먹고, 물과 땅마저 빼앗아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주장은 옳은 것일까요? 고기를 먹지 않으면 우리의 환경은 회복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채식주의자가 되어야 하는 것일까요? 만약 미국인들 중 10% 만이라도 채식주의자가 된다면 온실가스가 감소되고 가축들이 낭비하는 자원(토지, 물, 곡식 등)을 아낄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말 합니다.

물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소는 정말 우리의 물을 다 가져가나요? 정말 그럴 수나 있습니까? 24개의 햄버거 패티가 나오려면 올림픽 수영 경기장을 가득 채운 정도의 물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럼 축산업자들은 그렇게 많은 물을 어떻게 공급하는 것일까요?

 

답은 '빗물'입니다. 축산업에서 가축들에게 투입된다고 하는 어마어마한 물은 사실 거의 대부분 빗물의 형태입니다. 빗물은 땅에 스며들어 목초를 자라게 하고 소와 같은 가축들은 그 풀을 뜯어먹죠. 현대 적인 축산 농가의 경우 많은 양의 수분은 가축들이 먹는 사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건 동물들이 마신 물은 몇 시간 뒤에 오줌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는 것이죠. 가축이 마신 물은 동물들 체내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들어오고 나가는 순환 과정을 거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빗물이죠. 

 

가축이 사용하는 물은 자연계 순환의 일부분 입니다.

이것을 보고 소를 키우는데 엄청난 양의 물이 소모된다고 비난할 수 있을까요? 그것은 거짓말이나 다름 없습니다. 나무가 자라기 위해 필요한 물에 대해서도 같은 이야기를 할 수 있나요? 햄버거 하나를 생산하는데 1,650 리터의 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그 대부분이 빗물이라는 사실은 지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농작물을 키우는 것이 엄청난 양의 담수를 필요로 합니다. 전 세계 담수의 70%가 관개용 농작물에 사용되고 있고 곡물을 위한 지하수의 53%가 쌀, 밀 목화로 흘러갑니다.

사료

이제 가축들이 먹는 사료에 대해 생각해 보죠. 정말 그들은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먹어치우고 있습니까?

 

역시 사실이 아닙니다. 전 세계의 모든 종의 가축 사료들 중 84%는 인간이 먹을 수 없습니다. 16% 정도의 사료는 인간이 먹을 수 있는 것이지만 대부분 가금류와 돼지가 먹습니다. 왜냐면 그들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위가 하나 뿐인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이해 하셨나요? 전 세계적으로 반추동물에게 먹이는 것의 대부분은 사람이 먹을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종의 영양분 업사이클링 작업입니다. 버려지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죠. 사람이 먹는 곡식을 소에게 대신 먹이고 고기를 얻는다는 생각은 미신입니다. 우리는 축산업이 거대한 생태계의 일원이라는 것을 이해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먹는 곡식을 재배할 때 나오는 수많은 작물 부산물들은 가축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옥수수를 키울 때 우리가 먹는 옥수수 알갱이를 뺀 나머지는 어떻게 하나요? 당연히 소에게 먹일 수 있습니다. 아몬드 껍질, 콩 껍질, 귀리 껍질과 지푸라기, 빵집에서 나온 찌거기, 옥수수 속대, 면실, 맥주를 만들고 남은 곡물 찌꺼기 등을 포함한 수많은 부산물들을 소에게 먹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인간을 위해 만드는 작물 100파운드 마다 인간이 먹을 수 없는 부산물 37파운드가 함께 생성됩니다. 가축은 우리가 먹을 수 없는 부산물들을 우리에게 필요한 유제품과 육류로 바꿔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곡물에서 얻을 수 없는 고품질의 단백질이죠. 

토지

이제 토지에 대해 이야기 할 차례입니다. 소들이 사용하고 있는 토지가 너무나 많기 때문에 우리는 식물성 공급원을 충분히 재배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죠. 그럼 정말 소들이 우리가 사람들을 위한 식량을 재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땅을 빼앗고 있는 것일까요? 

 

역시 사실이 아닙니다. 일단 가장 큰 문제는 아무 곳에서나 농사를 지을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세계 농경지의 2/3는 실제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없습니다. 그곳에는 바위가 너무 많고, 구릉이 너무 많고, 토양의 질이 떨어지고, 물이 부족합니다. 이 쓸모없는 2/3의 땅을 식량생산에 사용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반추 동물입니다. 그들은 풀을 먹을 수 있고, 소호할 수 있고, 단백질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전 세게 농경지의 1/3만이 경작지 입니다. 그리고 이 곡물들은 대부분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대로 재배할 수가 없습니다. 지역마다 토양 조건이 다르고, 기후가 다릅니다. 그러나 기후와 토양이 좋지 않아 영양가 없는 잡초들만 무성하게 자라는 곳은 소, 양, 염소같은 반추동물을 키우기에 아주 좋은 조건입니다.

 

그리고 가축은 천연비료, 거름과 같은 귀중한 자원을 제공합니다.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비료의 절반이 동물의 분뇨에서 비롯됩니다. 가축은 인간에게서 약간의 곡물을 섭취하지만 이러한 곡물과 같은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해주는 비료의 50%는 가축에서 나옵니다.

온실가스

마지막으로 온실가스에 대해 생각해 보죠. 전 세계적으로 가축은 온실 가스 배출량의 14.5%을 차지합니다. 그러나 농작물 재배에는 탄소가 배출되지 않을까요?

 

동물성 식품을 식물성 식품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말할 때 농작물이 가축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를 만든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가축 수를 줄이더라도 식량을 위해서 더 많은 작물을 재배하게 되면 결국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합니다.

 

농산물 재배에도 만만치 않은 온실 가스를 발생 시킵니다.

또 다른 문제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역별로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온실가스는 개도국에서 발생합니다. 선진국이 아니라요. 

 

예를들어 미국에는 900만 마리의 젖소가 있지만 인도에는 3억 마리의 젖소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으 거의 같은양의 우유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선진국의 낙농업이 더 상업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온실가스 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도국의 낙농업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소가 배출하는 메탄은요? 메탄은 이산화 탄소보다 지구를 훨씬 더 따뜻하게 만드는 물질입니다. 메탄은 미국 온실가스 배출량의 10% 정도를 차지합니다. 그 10% 중 27% 만이 장내 발효에서 나온 것입니다. 전체 배출량의 2.7% 만이 가축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입니다.

 

그리고 소와 동물에서 나오는 메탄이 결국 자연 순환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 해야합니다. 화석연료를 태워서 땅속에 묻혀있던 탄소를 대기에 배출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소는 식물을 먹고 식물에 포함된 탄소는 메탄으로 바뀝니다. 그리고 소가 트림할 때 공기중으로 방출되죠. 그리고 10년쯤 뒤에 물과 이산화탄소로 다시 분해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소가 대기중에 새로운 탄소를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는 거죠. 소가 처음 먹었던 식물이 공기중에서 습득한 탄소가 다시 대기로 돌아가는 순환 과정일 뿐입니다. 결과적으로 같은양의 소를 유지한다면 추가적인 온실가스의 배출은 없습니다. 그리고 지난 20년동안 미국의 젖소 수는 대부분 동일하게 유지 되었죠.

 

그리고 가축들 이전에도 대기중에 메탄을 추가하는 반추동물은 많았습니다. 2011년 연구에 따르면 유럽인들이 미국에 정착하기 수백년 전에도 5천만 마리의 야생 들소와 엘크, 사슴이 현재 사육되는 메탄 배출량의 86%에 해당하는 양의 메탄을 생산하고 있었습니다.

 

소가 배출하는 메탄은 화석연료의 이산화탄소와 다릅니다.

동물성 식품을 식물성 식품으로 바꾸자고 주장하는 이들이 간과하는 또 한가지는 음식물 쓰레기 입니다.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계속 증가하고 있죠.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1/3은 결국 버려지게 됩니다. 

 

육류와 유제품은 음식물 쓰레기의 14%를 차지합니다. 그러고 나머지는 비동물성 식품들이죠. 과일과 채소가 42%, 밀과 쌀등 곡물이 22%, 감자나 고구마같은 괴경이 18%를 차지합니다. 

 

축산업을 포기하게 된다면 결국 더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생산하게 되는 부작용을 낳을 것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음식물의 낭비가 아니라 음식을 만드는데 들어간 모든 자원이 낭비되는 셈이죠. 

결론

축산업은 완벽하지는 않지만 비난 받는 것 만큼 우리에게 나쁘지는 않습니다. 심지어 좋은 점이 더 많죠. 우리에게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쓸모없는 농경지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고, 버려지는 농업 부산물을 처리해 줍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물과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은 과장되어있고 또 개선이 가능한 부분이죠.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도 거의 남기지 않습니다.

 

동물성 식품을 식물성 식품으로 바꾸고자 하는 사람들은 축산업의 위험을 과장하고 곡물 재배의 단점들을 감추려고 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죠. 우리는 지구를 위해서 굳이 고기를 덜 먹거나 안 먹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요. 그리고 우리는 더 효율적이고 좋은 방법을 찾아낼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