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 일본, 중국 모두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식사를 하는 젓가락 문화권의 국가입니다. 젓가락은 주로 쌀농사를 지어서 먹는 문화권에서 확산되었고, 한중일 삼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데다가 비슷한 식문화를 가지고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젓가락 문화 역시 공유하게 되었을 것이라고 짐작합니다. 심지어 젓가락을 쥐는 방법도 똑같죠. 

 

그러나 삼국의 젓가락은 비슷한 용도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또 상당이 다른 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중일 삼국의 젓가락이 어떻게 다른지 또 왜 그렇게 다른 모습을 가지게 되었는지 한 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의 젓가락

중국 음식이 차려진 식탁

위 사진에서 보듯이 중국은 큰 접시에 담긴 음식을 공유해 먹는 문화가 발달해 있습니다. 이런 문화는 이미 10세기 전후반 부터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우리나 중식당에 가면 흔히 보이는 회전판이 달린 식탁을 생각해 보면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습니다.

 

만약 반대편에 위치한 음식을 가져와서 먹으려고 한다면 젓가락 길이가 길 수록 유리합니다. 특히 중국 음식들은 기름진 요리가 많으니 잘 못하면 손을 다칠수도 있겠죠. 그래서 중국의 젓가락은 자연스럽게 길어지게 됩니다. 중국의 젓가락은 다른 나라의 젓가락에 비해 훨씬 긴 편입니다.

 

그리고 위 사진을 다시 보시면 식탁에 숟가락이 놓여 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국을 밥과 함께 먹는 문화가 아니기 때문에 식탁에 숟가락을 잘 올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대신 중국인들은 식후에 차를 마셨죠.

한국의 젓가락

금속 재질의 한국 수저

우리나라 젓가락의 가장 큰 특징은 주로 나무 소재를 이용하는 다른 나라와 달리 금속을 이용해서 젓가락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삼국 시대 왕족들이 은수저를 썼던 문화가 서민들에게 전파되면서 금속재 수저를 만들게 되었다는 설이 있기는 하지만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합니다.

 

또 일본, 중국과 다른 점은 숟가락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숟가락으로 국을 떠먹을 뿐 아니라 밥도 숟가락을 퍼서 먹죠. 젓가락은 딱 반찬을 집어먹는데만 사용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밥상은 중국의 식탁처럼 크지 않다보니 젓가락이 아주 길 필요는 없었지만 반대로 반찬을 집어먹어야 하기 때문에 너무 짧아서도 안됐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젓가락은 중국의 젓가락 보다는 짧고 일본의 젓가락보다는 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젓가락

일본 음식

위 첨부된 사진을 보시면 알 수 있지만 일본은 중국처럼 한 상에 있는 것을 나눠 먹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에게 상을 따로 차리는 문화가 존재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젓가락이 길 필요가 전혀 없었죠. 바로 자기 앞에 있는 음식만 집어먹으면 되기 때문에요. 따라서 일본의 젓가락은 삼국중 가장 짧아지게 됩니다.

 

또 지리적 특성상 생선을 자주 먹었기 때문에 생선가시를 잘 발라낼 수 있도록 젓가락의 끝 부분이 점점 뾰족해 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뭉툭한 한국의 젓가락들과 상당히 다른 모양을 가지게 되었죠.

 

게다가 일본은 밥그릇과 국그릇을 들고 먹는 문화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숟가락이 따로 필요가 없었죠. 국은 그냥 들고 마시면 되고 밥 역시 입에 가져다 대고 먹으면 숟가락을 쓸 이유가 없으니까요. 그래서 일본 역시 밥상에 숟가락이 따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